헨리 시즈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헨리 시즈윅은 19세기 영국의 철학자이자 경제학자, 심령학 연구가이며 여성 교육에도 기여했다. 요크셔에서 태어나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수학했으며, 윤리학, 정치학, 경제학 분야에서 저술 활동을 했다. 그의 대표작인 《윤리학의 방법》은 현대 윤리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공리주의적 윤리관을 발전시켰다. 시즈윅은 심령 현상 연구 협회의 창립자이자 초대 회장을 역임했고, 여성의 고등 교육을 장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리주의자 - 찰스 다윈
찰스 다윈은 자연 선택을 통한 진화론을 제시하여 현대 진화생물학의 기초를 세운 영국의 자연과학자이다. - 공리주의자 - 제러미 벤담
영국의 법철학자이자 사회개혁가인 제러미 벤담은 공리주의 철학의 창시자로, 법 개혁과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공리주의를 체계화하고 판옵티콘 감옥 모델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결과주의자 - 제러미 벤담
영국의 법철학자이자 사회개혁가인 제러미 벤담은 공리주의 철학의 창시자로, 법 개혁과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공리주의를 체계화하고 판옵티콘 감옥 모델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결과주의자 - 버트런드 러셀
버트런드 러셀은 20세기 분석철학의 기초를 다지고 수학의 논리적 환원을 시도한 영국의 철학자, 논리학자, 수학자, 역사가, 사회 비평가, 정치 운동가로, 평화 운동에 참여했으며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여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철학자 - 에드먼드 버크
에드먼드 버크는 1729년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정치인, 철학자, 작가로, 영국 의회 하원 의원으로서 보수주의 사상을 주창하며 프랑스 혁명을 비판하고 전통, 질서, 점진적 개혁을 강조했다. - 영국의 철학자 - 버트런드 러셀
버트런드 러셀은 20세기 분석철학의 기초를 다지고 수학의 논리적 환원을 시도한 영국의 철학자, 논리학자, 수학자, 역사가, 사회 비평가, 정치 운동가로, 평화 운동에 참여했으며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여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헨리 시즈윅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헨리 시즈윅 |
출생일 | 1838년 5월 31일 |
출생지 | 스키프턴, 요크셔, 잉글랜드 |
사망일 | 1900년 8월 28일 (향년 62세) |
사망지 |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셔, 잉글랜드 |
국적 | 영국 |
모교 |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 |
소속 기관 | 케임브리지 대학교 |
학파 | 공리주의 |
주요 관심사 | 경제학 윤리학 정치 철학 |
주요 사상 | 평균 및 총 공리주의 윤리적 쾌락주의 윤리적 직관주의 쾌락주의의 역설 |
소속 정당 | 자유 연합당 |
생애 | |
영향 | 존 롤스 데렉 파핏 피터 싱어 |
영향 받은 인물 | 제러미 벤담 존 스튜어트 밀 임마누엘 칸트 |
2. 생애
헨리 시즈윅은 1838년 요크셔 주 스키프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지역 문법 학교의 교장이었다.[1] 럭비 학교와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교육받았으며, 1859년 트리니티 칼리지의 펠로우로 선출되어 고전학 강사로 10년간 재직했다. 1869년에는 윤리학 강사로 자리를 옮겼다.
시즈윅은 영국 성공회 신앙 고백에 대한 양심적인 문제로 1869년 펠로우십을 사임했다. 그러나 강사직은 유지했으며, 1881년 명예 펠로우로 선출되었다. 1874년에는 《윤리 방법론》을 출판하여 학계에 이름을 알렸다. 1875년 트리니티 칼리지의 윤리 및 정치 철학 강사, 1883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철학 기사교수로 임명되었고, 1885년 종교적 시험 폐지 후 다시 펠로우로 선출되었다.
시즈윅은 대학 운영과 사회, 자선 활동에도 적극 참여했다. 심령 현상 연구 협회 초대 회장, 형이상학회 회원을 역임했다. 특히 여성의 고등 교육 진흥에 힘썼으며, 뉴넘 칼리지 설립에 기여했다. 1876년 엘레노어 밀드레드 발푸어와 결혼했으며, 1892년부터 아내가 뉴넘 칼리지 교장을 맡아 함께 거주했다.
1900년 건강 악화로 교수직을 사임하고 몇 달 후 사망했다. 불가지론자였던 그는 에식스 주 터링의 올 세인츠 교회 묘지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헨리 시즈윅은 요크셔 주 스키프턴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아버지 W. 시즈윅 목사(1841년 사망)는 지역 문법 학교(Ermysted's Grammar School)의 교장이었다.[1] 헨리의 어머니는 메리 시즈윅(결혼 전 성은 크로프트, 1807–79)였다.헨리 시즈윅은 럭비에서 교육을 받았고(그의 사촌이자 후에 처남이 된 에드워드 화이트 벤슨, 후에 캔터베리 대주교가 됨),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서도 교육을 받았다. 트리니티 칼리지 재학 중 시즈윅은 케임브리지 사도회의 회원이 되었다. 1859년 그는 수석 클래식, 33위 랭글러, 총장 메달리스트, 크레이븐 장학생이었다. 같은 해에 그는 트리니티 칼리지의 펠로우로 선출되었고, 곧 그곳에서 고전 강사가 되었으며, 이 직책을 10년 동안 맡았다.[1] 여러 대학의 예술 및 인문학부들이 있는 시즈윅 사이트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 2. 학문적 경력
1869년, 시즈윅은 고전 강사직에서 윤리학 강사직으로 전향했다. 그는 더 이상 영국 성공회의 신념에 동의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펠로우십을 사임했지만, 강사직은 계속 유지했다. 1881년에는 명예 펠로우로 선출되었다.[1] 1874년, 그는 《윤리 방법론》(The Methods of Ethics영어)을 출판하여 학계의 큰 주목을 받았다. 존 롤스는 이 책을 "방법론과 정신 모두에서 현대적인, 윤리 이론에 관한 최초의 진정한 학술 저작물"이라고 평가했다.[1]1875년, 시즈윅은 트리니티 칼리지의 윤리 및 정치 철학 강사로 임명되었다. 1883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철학 기사교수로 선출되었다. 1885년, 종교적 시험이 폐지되면서 트리니티 칼리지는 그를 재단 펠로우로 다시 선출했다.[1]
2. 3. 사회 활동 및 여성 교육
시즈윅은 강의와 저술 활동 외에도 대학 업무와 다양한 사회 및 자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 그는 1882년 창립부터 1899년까지 일반 연구 위원회(General Board of Studies)의 위원, 인도 공무원 위원회, 지방 시험 및 강연 신디케이트(Local Examinations and Lectures Syndicate) 상원 위원, 그리고 윤리 과학 특별 위원회(Special Board for Moral Science) 의장을 역임했다.[1]심령 현상 연구 협회의 창립자이자 초대 회장이었으며, 형이상학회 회원이었다.[1] 여성의 고등 교육에도 힘써, 여성을 위한 고등 지방 시험과 케임브리지에서의 관련 강연을 시작하는 데 기여했다.[1] 앤 클로프가 학생 기숙사를 열 때 그의 제안과 도움이 컸으며, 이는 뉴넘 칼리지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1] 1880년 노스 홀(North Hall)이 추가되자 시즈윅은 2년간 그곳에서 거주했다.[1]
1876년 아서 발푸어의 여동생 엘레노어 밀드레드 발푸어와 결혼했다.[1] 1892년 클로프 사망 후, 시즈윅의 아내가 뉴넘 칼리지 교장이 되었고, 부부는 남은 생애 동안 그곳에서 함께 살았다.[1] 시즈윅은 이 기간 칼리지의 복지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1]
2. 4. 말년과 사망
1900년 초, 건강 악화로 시즈윅은 교수직을 사임해야 했고, 몇 달 후 사망했다. 그는 불가지론자로 사망했으며, 에식스 주 터링의 올 세인츠 교회 묘지에 묻혔다.3. 윤리학
시즈윅은 자신의 윤리적 입장을 "직관주의적 기반"의 공리주의로 요약한다. 이는 당시 영국의 철학자들 사이에서 공리주의와 윤리적 직관주의 철학 간의 경쟁 관계를 반영하는 것이었다. 존 스튜어트 밀은 저서 ''공리주의''에서 윤리적 직관주의를 비판했다.
시즈윅은 제레미 벤담과 존 스튜어트 밀의 공리주의에서 "심리적 쾌락주의"와 "윤리적 쾌락주의" 사이의 불일치에 불만을 느꼈다. 심리적 쾌락주의는 모든 사람이 항상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윤리적 쾌락주의는 모든 사람이 일반적인 이익을 위해 행동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시즈윅은 벤담과 밀 모두 어떤 사람이 자신의 이익을 일반적인 이익에 희생해야 하는지에 대한 적절한 답변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보았다. 윌리엄 휘웰과 같은 철학자들이 주장한 윤리적 직관은 시즈윅에 따르면 그러한 규범적 주장에 필요한 힘을 제공할 수 있었다.
시즈윅에게 윤리는 어떤 행동이 객관적으로 옳은지에 대한 것이다.[4] 옳고 그름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상식적인 도덕성에서 나오는데, 이는 핵심에 일관된 원칙이 부족하다.[5] 일반적인 철학, 특히 윤리의 과제는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지식을 체계화하는 것이다.[6] 시즈윅은 ''윤리적 방법론''을 공식화함으로써 이를 달성하려고 했다.[7][8] 그는 직관주의, 이기적 쾌락주의, 보편적 쾌락주의(공리주의)의 세 가지 방법을 식별했다.[6][7]
시즈윅은 ''직관주의''와 ''공리주의''는 서로 조화될 수 있다고 보았으나, 이기주의는 ''종교적 가정'' 없이는 공리주의와 화해될 수 없다고 보았다.[7] 예를 들어, 사후에 행위자에게 보상하고 처벌하는 신의 존재와 같은 가정은 이기주의와 공리주의를 조화시킬 수 있다.[6] 그러나 그러한 가정 없이 우리는 도덕적 의식에서 "근본적인 모순"을 구성하는 "실천적 이성의 이원론"을 인정해야 한다.[4]
3. 1. 메타 윤리학
시즈윅은 비자연주의 형태의 도덕적 실재론을 옹호했다. 그는 도덕적 인지주의를 주장했는데, 이는 도덕적 언어가 진리에 적합하며 도덕적 속성이 어떤 자연적 속성으로도 환원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자연주의적 실재론은 윤리적 직관주의적 인식론과 결합되어 도덕적 진리를 알 수 있는 가능성을 설명한다.[1]3. 2. 내밀한 도덕성 (Esoteric Morality)
시즈윅은 '내밀한 도덕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논란이 있다. 내밀한 도덕성이란, 어떤 도덕 체계(예: 공리주의)는 수용 가능하지만, 그 도덕 체계가 널리 가르쳐지거나 받아들여지는 것은 수용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버나드 윌리엄스는 시즈윅의 내밀한 공리주의를 "총독 관저 공리주의"(Government House Utilitarianism)라고 칭하며, 이는 시즈윅의 사상이 반영하는 엘리트 영국 식민주의적 환경을 나타낸다고 주장했다.[1]
4. 경제학
헨리 시즈윅은 애덤 스미스, 데이비드 리카도, 존 스튜어트 밀의 고전 경제학에서 윌리엄 스탠리 제본스와 앨프레드 마셜의 신고전 경제학으로 전환되던 시기에 경제학 분야에서 활동했다. 시즈윅은 구 경제학과 신 경제학 사이의 유사점을 강조했으며, J.S. 밀의 정치경제학 원리를 기반으로 제본스의 통찰력을 통합하여 자신의 작업을 수행했다.[4]
시즈윅은 자기 이익을 인간 동기의 핵심으로 보았다. 그는 이러한 자기 이익이 경제 세계에서 큰 효용성을 가지며, 사람들이 가능한 최고 가격으로 상품을 판매하거나 최저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하려는 것에 대해 비난받아서는 안 된다고 믿었다. 그러나 그는 개인이 자신의 이익을 적절하게 판단하는 능력과 집단이 최대 행복 지점에 도달하는 능력 사이의 차이점을 구별했다. 그는 개인의 결정과 집단의 결정 결과에서 두 가지 차이점을 발견했다.
첫째는 부의 축적 외의 가치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단순히 부를 극대화하는 것이 항상 사회 전체의 최선은 아니다. 이는 무지, 미성숙, 장애와 같은 개인의 한계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알코올 판매 제한과 같은 도덕적 판단일 수 있다.
둘째는 사회 구성원 각자가 자신의 부를 극대화하려 할 때, 사회 전체의 부가 항상 극대화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다른 개인의 행동으로 인해 개인의 최대 부가 낮아지는 모순이 발생할 수 있으며, 독점으로 인한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5]
시즈윅의 연구는 아서 세실 피구의 저서 ''복지 경제학''에 영감을 주어 후생 경제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5]
앨프레드 마셜은 시즈윅을 자신의 "정신적인 어머니이자 아버지"라고 묘사했다.[6]
5. 심령학 연구
시즈윅은 초자연 현상에 평생 동안 관심을 가졌다.[4] 이러한 관심은 종교적 신념에 대한 개인적인 갈등과 결합되어, 초자연적이거나 기적적인 현상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평가하는 데 관심이 있는 젊은 동료들을 모으는 동기가 되었다. 이 모임은 "시즈윅 그룹"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심령연구협회의 전신이 되었으며, 시즈윅은 이 협회의 창립자이자 초대 회장이었다.
시즈윅은 자신의 관심사를 심령학 연구와 연결시켰다.[4] 그는 실천 이성의 이원론이 사후에 도덕적 행동에 대한 보상으로 인해 합리적 이기주의와 공리주의의 권고가 일치한다는 것이 경험적으로 밝혀진다면, 철학적 윤리학 외부에서 해결될 수 있다고 믿었다.[4]
바트 슐츠에 따르면, 시즈윅은 심령학을 학문으로 제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심령학에 "압도적으로 부정적이고 파괴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최근 심령학 비판가들의 영향과 유사"했다. 그와 시즈윅 그룹의 동료들은 사기 매체를 폭로한 것으로 유명해졌다. 그러한 사건 중 하나는 에우사피아 팔라디노의 사기 폭로였다.
6. 종교관
시즈윅은 잉글랜드 성공회에서 성장했지만, 정통 기독교에서 벗어나 1862년경에는 자신을 종교와는 별개의 유신론자라고 묘사했다.[9] 1888년에는 신념으로서의 유신론을 거부하고, 세속적 인본주의 단체이자 윤리 협회 연합의 일원인 케임브리지 윤리 협회를 공동 설립했으며, 1896년까지 회장으로 재임했다. 그는 남은 생애 동안 기독교를 "사회학적 관점에서 필수불가결하고 대체 불가능한..." 것으로 여겼지만, 종교로서 다시 돌아갈 수는 없었다.
7. 저작
The Ethics of Conformity and Subscription영어. 1870.
The Methods of Ethics영어. 런던, 1874, 7판 1907.
The Theory of Evolution in its application to Practice영어. 마인드, 제1권, 제1호, 1876년 1월, 52–67.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영어. 런던, 1883, 3판 1901.
Scope and Method of Economic Science영어. 1885.
Outlines of the History of Ethics for English Readers영어. 1886, 5판 1902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의 ''윤리학'' 논문에서 확장됨).
The Elements of Politics영어. 런던, 1891, 4판 1919.
The philosophy of Common Sense영어. 마인드, 새로운 시리즈, 제4권, 제14호, 1895년 4월, 145–158.
Economic Science and Economics영어. 팔그레이브의 ''정치 경제학 사전'', 1896, v. 1, (''새 팔그레이브: 경제학 사전'', 1987, v. 2, 58–59에 재인쇄).
Practical Ethics영어. 런던, 1898, 2판 1909.
Philosophy; its Scope and Relations영어. 런던, 1902.
Lectures on the Ethics of T.H. Green, Mr Herbert Spencer, and J. Martineau영어. 1902.
The Development of European Polity영어. 1903, 3판 1920.
Miscellaneous Essays and Addresses영어. 1904.
Lectures on the Philosophy of Kant and other philosophical lectures and essays영어. 1905.
- 『윤리학의 여러 방법』(The Methods of Ethics). 1874, 7판 1907.
- 『경제학 원리』(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1883, 3판 1901.
- 『경제 과학의 범위와 방법』(Scope and Method of Economic Science). 1885.
- 『윤리학사』(Outlines of the History of Ethics). 1886, 5판 1902,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ethics" 항목에 추가됨.
- 『정치학의 여러 요소』(Elements of Politics). 1891, 2판 1897, 벤담과 밀의 오래된 계보에서 시작하는 주제에 대한 충분한 고찰을 제공하려는 시도.
다음은 사후 출판된 것이다.
- 『철학; 그 범위와 관계』(Philosophy; its Scope and Relations). 1902.
- 『그린, 스펜서, 마티노의 윤리학에 대한 강의』(Lectures on the Ethics of T. H. Green, Mr Herbert Spencer and J. Martineau). 1902.
- 『유럽 정치의 발전』(The Development of European Polity). 1903.
- 『논문과 강연집』(Miscellaneous Essays and Addresses). 1904.
- 『칸트 철학 강의』(Lectures on the Philosophy of Kant). 1905.
8. 가족
1876년, 헨리 시즈윅은 엘레노어 밀드레드 발푸어와 결혼했다.[1] 그녀는 런던에서 물리학 연구원으로 일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 뉴넘 칼리지의 학장을 지냈다.[1] 엘레노어는 미래의 영국 총리인 아서 발푸어의 여동생이었다.[1] 이들은 자녀를 두지 않았고, 시즈윅이 사망할 때까지 결혼 생활을 유지했다.[1]
9. 평가 및 영향
존 롤스에 따르면, 현대 윤리학에서 시즈윅의 중요성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고전적 공리주의에 대한 정교한 변호를 제공했다는 점이며, 둘째는 비교 방법론을 통해 윤리학이 학문으로서 어떻게 연구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이다.[4] 앨런 W. 우드는 시즈윅에게서 영감을 받은 비교 방법론이 현대 윤리학자들 사이에서 연구 방법론의 "표준 모델"이 되었다고 설명한다.[5]
현대 윤리학자들에게 중요한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시즈윅의 철학자로서의 평가는 그의 사후 수십 년 동안 급격히 하락했으며, 20세기 전반에 걸쳐 철학계의 비주류 인물로 간주되었다. 바트 슐츠는 이러한 부정적인 평가가 시즈윅 사후 수년 동안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던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철학, 영국 관념론의 잔재, 그리고 무엇보다도 블룸스버리 그룹의 취향 때문이라고 주장한다.[6] 그러나 존 데이는 슐츠의 설명을 반박하며, 시즈윅에 대한 관심 감소는 수학에서의 공리에 대한 철학적 이해 변화에 기인한다고 본다.[7]
참조
[1]
학술자료
[2]
서적
Unpopular essays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3]
간행물
The Congress of Experimental Psychology
https://books.google[...]
1892-08-06
[4]
웹사이트
Henry Sidgwick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0-01-01
[5]
웹사이트
Utilitarianism
https://www.britanni[...]
[6]
서적
Macmillan Encyclopedia of Philosophy, 2nd Edition
https://philpapers.o[...]
Macmillan
2006-01-01
[7]
서적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hilpapers.o[...]
Routledge
1996-01-01
[8]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https://philpapers.o[...]
Oxford University Press
2005-01-01
[9]
웹사이트
Cambridge Ethical Society
https://heritage.hum[...]
Humanists UK
2024-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